유교적측면 썸네일형 리스트형 동양미술 회화를 바라보는 우리의입장 여러분은 동양회화를 어떤 입장에서 바라볼것인가요? 고대에 있어서의 화회란 역시 넓은 의미에서의 실용적 목적이 주된 것이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. 우리나라의 경우도 이런 의미에서는 세계의 다른 문화지역들과 그 기원상의 성격에 있어서는 별로 큰 차이가 없다. 선사시대의 암각화나 청동기시대에 나타난 선각화들을 보면 다분히 풍요와 다산을 기리는 성격을 띠고 있으며,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의 화회는 종교적 또는 기록적 성격을 띤 실용적 목적의 그림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. 이처럼 우리나라도 선사시대부터 고대까지의 회화는 생활과 직결된 입장에서 회화를 제작하였다. 그러나 지혜가 발달하면서 사람들은 회화를 단순히 실용적 목적에서만 제작하지를 않고, 그리는 사람이나 보는 사람의 즐거움과 수양을 위해서, 즉 넓.. 더보기 이전 1 다음